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도 기니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프리카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0073ce 11%, 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3e9a00 33%, #fff 33%, #fff 66%, #e32118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적도 기니|[[파일:적도 기니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적도 기니 관련 문서
República de Guinea Ecuatorial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www.guineaecuatorialpress.com/high_1344580197.jpg
Fuerzas Armadas de Guinea Ecuatorial. 적도기니군대이다.[1]
1. 소개
3. 구성
3.1. 육군
3.2. 해군
4. 사건
5.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1979년에 쿠데타 이후로 재정비된 군대이다. 독재자 오비앙의 부족인 Esangui족 출신들이 주류를 이루며 해안경비대의 소수만이 타 부족 출신이다.

총병력 2,500여명에 육군 1,400여명, 해군 200여명, 경찰 400여명, 헌병군 500여명으로 구성되어있다. 공군이 존재하지 않으며 공군의 역할은 육군 항공대가 맡고 있다. 아프리카군 규모중에 작은 규모에 해당한다. 물론 적도 기니의 나라 규모가 작은걸 감안한다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근본적으로 소련군의 군사고문지도를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냉전말기부터 미국과 접촉하여 경비정을 지원받았다.


2. 통수권[편집]


  • 통수권자: 테오도로 오비앙(Teodoro Obiang Nguema Mbasogo) 대통령
대통령인 테오도로 오비앙은 프란시스코 응우에마(Francisco Macías Nguema)를 뒤엎고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이 되었는데 응우에마는 그의 사촌이었다. 오비앙은 쿠데타 당시에 장성급 장교였다. 그때문인지 아님 그냥 독재자라 그런지 군사적인 정책을 본인이 직접 결정한다.


3. 구성[편집]


육군(1,400명), 해군(200명), 공군(120명)과 준군사조직인 경찰예비대(400명)로 구성된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헌병군(Gendarmerie)도 있긴 하지만 규모는 불확실하다.


3.1. 육군[편집]


파일:external/newsimg.bbc.co.uk/_45326684_inpeugeot_afp466.jpg

주로 소련제 장비를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나 그 규모가 실질적으로 1개 대대를 총합하는 수준 정도이다. 기타 선진국의 원조를 받았다고하지만 소련제 장비들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제 장비로 무장하고 있다.


포병장비
  • ZiS-3 76mm 사단포 10문(?)
  • 63식 107mm 소형 다연장로켓

박격포
  • 82mm 박격포
  • WMZ-551 SM-4 120mm 중박격포 탑재차량

대전차 화기

대공화기
  • HN-5 맨패즈
  • ZPU-1/2/4 14.5mm 대공포
  • ZU-23-2 23mm 대공포

총기
권총: MAB PA-15, 제리코 941
자동소총: 갈릴 AR/갈릴 ACE, TAR-21, 56식 자동소총, M70AB2/M92 카빈, AK-47, SKS
기관총: RPK, RPD, PKM, MG3, DShK, 77식, KPV
저격소총: SVD
유탄발사기: QLZ-87, GP-25, AGS-17

적도기니 육군이 보유한 차량
  • UAZ-469
  • CJ7 지프
  • 중국제 둥펑 워리어 CSK-131 전술차량
  • 토요타 랜드 크루저 픽업 트럭
  • 이스라엘제 AIL Abir 닷지 트럭
  • IVECO 40.10WM 닷지 트럭
  • 프랑스제 ACMAT VLRA 2 TDN-TDE 카고 트럭
  • 스페인제 Pegaso 3046 카고 트럭
  • 중국제 Beiben-2628A 카고 트럭

적도기니 육군이 보유한 장갑차
  • 중국제 WMA301 105mm 화력지원차량
  • BMP-1 20대[2]
  • BRDM-2 정찰 장갑차
  • ZFB-05 보병수송차
  • 남아공제 RG-31/RG-33 MRAP

공군이 없기 때문에 육군 항공대가 별도로 존재하여 공군의 역할을 하며, 아프리카에서 나름 구색을 갖춘 항공전력을 운영하고 있다.

운용 항공기
고정익기: Su-25 4기, An-72 1기, L-39 2기
회전익기: Ka-27 1기, Mi-26 1기, Mi-24 7기, Mi-17 2기


3.2. 해군[편집]


Wele Nzas급 2500톤급 프리킷 1척과 Bata급(OPV-88) 1360톤급 코르벳 1척 그리고 Shaldag급 고속정 1척외 순찰보트를 위주로 연안경비수준의 전력을 운영하고 있다.

해군 인력 규모가 200여명밖에 안되는 것치곤 의외로 함대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있다.


4. 사건[편집]


2021년 3월 7일에 적도 기니의 군막사에서 연쇄폭발이 일어나 105명이 사망했다. #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0:30:49에 나무위키 적도 기니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적도기니는 아프리카에선 유일한 스페인어 사용지역이다.[2] 2007년 체코에서 도입함